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이게이션 드로우
- SlidingRootNav
- databinding
- 라이브러리
- android list
- recyclerview
- 안드로이드
- EventEmitter
- HTTP
- node.js
- 알고리즘
- android
- Java 지네릭스(Generics)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자바
- navigation
- 백준
- Today
- Total
목록Java (3)
삽질개발
이번 시간은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핏보면 추상클래스랑 매우흡사합니다.하지만 다른 차이점이있습니다.1. 추상 클래스는 일반메소드와 추상메소드 둘다 가지지만 인터페이스는 오로지 추상메소드와 상수만 가집니다.2. 메소드는 무조건 public abstract로 선언3. 변수는 무조건 public static final로 선언4. 인터페이스는 다중 상속과 비슷한 기능 쉽게 말하면 인터페이스는 외부를 서로 이어주는 다리 역활을 하는겁니다. 간단하게 구현예제를 알아보겠습니다. Inter 라는 인터페이스를 선언 후 간단한 sum과 minus 메소드를 선언해줍니다. 어떻게보면 명세서 같은겁니다. 이제 이걸 구현하는 class를 만듭니다. implements 라는건 구현이라는뜻이로 정의해준 메소드를 구현해줍..
쓰레드란동시에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하는것!!!간단히 요약하자면 이러하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Thread를 상속받는 class에 메소드 1개를 정의해보겠습니다. class Thread13_1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int i = 10;while (i != 0 && !isInterrupted()) {System.out.println(i--);for (long x = 0; x < 2500000000L; x++); }System.out.println("카운트가 종료되었습니다.");}} run메소드는 쓰레드가 실행중일때 실행 메소드이며 여기에서는 isInterrupted()가있는데 현 Interrupted를 boolean 값으로 반환..
지네릭스(Generics)란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체크를 해주는 기능입니다. 지네릭스를 쓰면 얻는효과는1. 타입의 안정성2.코드가 간결해진다. 간단한 예제를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예시된 Car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public class Car {Object speed; void setspeed(Object speed) {this.speed = speed;} Object getspeed() {return speed;}} 이제 이클래스를 지네릭 클래스로 변경하게되면 클래스옆에 를 붙이면 된다. public class Car {T speed; void setSpeed(T speed) {this.speed = speed;} T getSpeed() {..